평촌 롯데캐슬 르씨엘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

전용 60㎡이하 품귀 심화...공급 10년 만에 최저 수준 그쳐

올해 전국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년 대비 2만 가구 이상 줄은 7.7만여 가구에 그치며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규모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지만, 주택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입주 예정인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총 7만7,32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9만7,830가구)보다 21%(2만504가구) 감소한 수치며 2015년(7만7,741가구) 이후 10년 만의 최저 기록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내년에는 이보다 3만 가구 이상 적은 4만2,956가구 수준에 그치는 등 소형 면적의 품귀 현상을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인천, 충남, 대구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해 2만8,026가구가 공급된 경기도는 지난해 4만3,514가구 보다 35.6% 줄었다. 김포와 군포, 과천, 구리, 하남 등 11개 지역의 경우 올해 소형 입주물량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 중 김포를 포함한 7곳은 내년까지도 공급이 없다.

인천 2019년(2,833가구) 이후 6년만의 최저 수준인 4,223가구에 그친다. 

지방에서는 올해 938가구가 입주하는 충남이 14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대구도 13년만에 가장 적은 708가구가 공급된다. 

이들 지역과 달리 서울, 울산, 세종, 경남 등은 지난해 보다 소형 공급이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소형 면적의 주된 수요층은 1~2인 가구 등의 소가족들이다. 1인 가구 등이 증가하는 것과 달리 소형 면적의 공급이 줄어드는 역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돌파, 전체 세대의 42%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뿐만 아니라 2인 가구도 600만 가구를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전문가는 “저출산·고령화로 1~2인 가구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공급이 뒷받침되지 않아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며 “내년에도 입주물량이 더 줄어드는 만큼 소형 아파트의 희소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소형 타입 입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근 분양시장에서는 전용 60㎡ 이하 소형 평형을 포함한 단지들이 주목받고 있다. 실수요 중심의 내 집 마련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오는 11월에는 BS한양이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를 분양한다. 총 1,071가구 중 전용 59㎡타입이 321가구 공급된다.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을 품은 역세권 입지로, 강서 마곡지구와 직결되며 서울과의 접근성도 뛰어나다. 단지가 들어서는 풍무역세권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지역이라 합리적 가격에 공급될 예정이다.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조감도(제공: BS한양)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조감도(제공: BS한양)

소형 오피스텔도 관심을 끈다. 롯데건설이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에 짓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 전용 47~119㎡, 총 900실 규모다. 각 타입별로 드레스룸, 팬트리, 개방형 거실 등 특화 설계를 도입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두산건설과 BS한양이 인천 부평구 부개동에서 분양 중인 '두산위브 & 수자인 부평 더퍼스트'도  46㎡, 59㎡, 74㎡ 등의 소형이 포함됐다. 전용 46㎡는 1~2인 가구에게, 전용 59㎡타입은 방 3개와 거실 구조로 3~4인 가구도 관심을 가질 만 하다. 

이 게시물을

에디터 선택

※ 주의 : 페이지가 새로고침됩니다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전용 60㎡이하 품귀 심화...공급 10년 만에 최저 수준 그쳐

올해 전국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년 대비 2만 가구 이상 줄은 7.7만여 가구에 그치며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규모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지만, 주택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입주 예정인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총 7만7,32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9만7,830가구)보다 21%(2만504가구) 감소한 수치며 2015년(7만7,741가구) 이후 10년 만의 최저 기록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내년에는 이보다 3만 가구 이상 적은 4만2,956가구 수준에 그치는 등 소형 면적의 품귀 현상을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인천, 충남, 대구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해 2만8,026가구가 공급된 경기도는 지난해 4만3,514가구 보다 35.6% 줄었다. 김포와 군포, 과천, 구리, 하남 등 11개 지역의 경우 올해 소형 입주물량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 중 김포를 포함한 7곳은 내년까지도 공급이 없다.

인천 2019년(2,833가구) 이후 6년만의 최저 수준인 4,223가구에 그친다. 

지방에서는 올해 938가구가 입주하는 충남이 14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대구도 13년만에 가장 적은 708가구가 공급된다. 

이들 지역과 달리 서울, 울산, 세종, 경남 등은 지난해 보다 소형 공급이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소형 면적의 주된 수요층은 1~2인 가구 등의 소가족들이다. 1인 가구 등이 증가하는 것과 달리 소형 면적의 공급이 줄어드는 역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돌파, 전체 세대의 42%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뿐만 아니라 2인 가구도 600만 가구를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전문가는 “저출산·고령화로 1~2인 가구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공급이 뒷받침되지 않아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며 “내년에도 입주물량이 더 줄어드는 만큼 소형 아파트의 희소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소형 타입 입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근 분양시장에서는 전용 60㎡ 이하 소형 평형을 포함한 단지들이 주목받고 있다. 실수요 중심의 내 집 마련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오는 11월에는 BS한양이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를 분양한다. 총 1,071가구 중 전용 59㎡타입이 321가구 공급된다.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을 품은 역세권 입지로, 강서 마곡지구와 직결되며 서울과의 접근성도 뛰어나다. 단지가 들어서는 풍무역세권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지역이라 합리적 가격에 공급될 예정이다.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조감도(제공: BS한양)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조감도(제공: BS한양)

소형 오피스텔도 관심을 끈다. 롯데건설이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에 짓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 전용 47~119㎡, 총 900실 규모다. 각 타입별로 드레스룸, 팬트리, 개방형 거실 등 특화 설계를 도입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두산건설과 BS한양이 인천 부평구 부개동에서 분양 중인 '두산위브 & 수자인 부평 더퍼스트'도  46㎡, 59㎡, 74㎡ 등의 소형이 포함됐다. 전용 46㎡는 1~2인 가구에게, 전용 59㎡타입은 방 3개와 거실 구조로 3~4인 가구도 관심을 가질 만 하다. 

이 게시물을

에디터 선택

※ 주의 : 페이지가 새로고침됩니다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